생산관리 분야 자격증
|
||||||
-
|
→
|
-
|
→
|
|||
-
|
||||||
-
|
-
|
품질경영산업기사 → 품질경영기사 → 품질관리기술사
사회조사분석사 처럼 통계가 쓰임.
응시자격진단
- 아래 링크에서 조회하면 아래와 같이 뜸.
관련학과 대학졸업예정자
|
5년제 대학 관련학과 1/2이상 마친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6년제 대학 관련학과 1/2이상 마친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관련학과 2년제 전문대학 졸업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관련학과 3년제 전문대학 졸업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1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관련학과 대학졸업자
|
관련학과 전공심화과정의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
관련학과 전공심화과정의 학사학위 취득자
|
기능사 자격 취득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3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4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예정자
|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
산업기사 등급 이상 자격 취득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1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자
|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 제7조 규정에 의하여 관련학과 106학점 이상을 인정받은 자
|
4년제 대학 관련학과 1/2이상 마친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https://www.q-net.or.kr/man001.do?id=man00103&gSite=Q&gId=&redir=myp011.do%3Fid%3Dmyp01101%26gId%3D%26gSite%3DQ
로그인 | Q-net
사이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로 로그인을 하시려면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여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를 등록하셔야 합니다. 최근
www.q-net.or.kr
19,400원 | 22,600원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대학의 산업공학, 산업경영공학, 산업기술경영 등 관련학과
③ 시험과목
- 필기 : 1. 실험계획법 2. 통계적품질관리 3. 생산시스템 4. 신뢰성관리 5. 품질경영
- 실기 : 품질경영 실무
④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3시간, 100점)
⑤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시험일정
국가기술자격 목록 -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상단의 시행종목을 선택해주세요.
www.q-net.or.kr
준비물
필기
· 필수: 신분증, 컴퓨터용 사인펜, 공학계산기(허용 기기만 가능)
· 선택: 수험표(수험번호), 샤프, 지우개, 수정테이프, 귀마개(시험장에서 승인여부 묻기), 손목시계
실기(통계수치표 안주면 꼭 달라고하기)
· 필수: 신분증, 검은 볼펜, 수정테이프, 공학계산기(허용 기기만 가능)
· 선택: 수험표(수험번호), 샤프, 지우개, 귀마개(시험장에서 승인여부 묻기), 손목시계
9시 입실 -> 9시 30분 시험시작 -> 12시 종료(2시간30분후)
(5과목 동시에 진행)
응시인원
|
응시율 | 성비(남:녀) | 합격률 | |
필기
|
4,000~5,000명
|
70~80%
|
3:1
|
40~60%
|
실기
|
2,000~3,000명
|
80~90%
|
3:1
|
30~60%
|
|
시험시간 | 시험형태 | 문항수 | 과목수 | 출제형식 | 합격기준 |
필기
|
2시간 30분
(150분)
|
객관식(OMR 카드)
|
100문항
|
5개
|
20문항 x 5과목
(A형 or B형)
|
과목당 40점 이상
총 60점 이상
|
실기
|
3시간
(180분)
|
필답형
(문제지에 답안 직접 작성 ) |
14문항
|
4개
(생산 시스템 제외) |
과목 구분 없음
(통계수치표 제공)
|
총 60점 이상
|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구성.
과목당 20문제씩 총 10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
필기
○직무내용 : 고객만족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계, 생산준비, 제조 및 서비스를 산업 전반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고 품질경영시스템의 업무를 수행하여 각 단계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혁신하는 직무 수행
필기과목명 | 문제수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실험 계획법 | 20 |
1. 실험계획 분석 및 최적해 설계 |
1. 실험계획의 개념 |
1. 실험계획의 개념 및 원리 2. 실험계획법의 구조 모형과 분류 |
2. 요인배치법 |
1. 일원배치법 2. 일원배치법의 해석 3. 반복이 없는 이원 배치법 4. 반복이 있는 이원 배치법 5. 난괴법 6. 다원배치법의 개요 |
|||
3. 대비와 직교분해 |
1. 대비와 직교분해 |
|||
4. 계수값 데이터의 분석 및 해석 |
1. 계수값 데이터의 분석 및 해석 (일, 이원배치법) |
|||
5. 분할법 |
1. 단일분할법 2. 지분실험법 |
|||
6. 라틴방격법 |
1. 라틴방격법 및 그레코 라틴 방격법 |
|||
7. Kn 형 요인 배치법 |
1. Kn 형 요인배치법 |
|||
8. 교락법 |
1. 교락법과 일부실시법 |
|||
9. 직교배열표 |
1. 2수준계 직교배열표 2. 3수준계 직교배열표 |
|||
10. 회귀분석 |
1. 회귀분석 |
|||
11. 다구찌 실험계획법의 개념 | 1. 다구찌 실험계획법의 개념 2. 다구찌 실험계획법의 설계 |
|||
생산시스템 |
20 | 1. 생산시스템의 이해와 개선 |
1. 생산전략과 생산 시스템 |
1. 생산시스템의 개념 2. 생산형태와 설비배치/ 라인밸런싱 3. SCM(공급망관리) 4. 생산전략과 의사결정론 5. ERP와 생산정보관리 |
2. 수요예측과 제품조합 |
1. 수요예측 2. 제품조합 |
|||
2. 자재관리 전략 |
1. 자재조달과 구매 |
1. 자재관리와 MRP(자재소요량 계획) 2. 적시생산시스템(JIT) 3. 외주 및 구매관리 4. 재고관리 |
||
3. 생산계획수립 |
1. 일정관리 |
1. 생산계획 및 통제 2. 작업순위결정방법 3. 프로젝트일정관리 및 PERT/CPM |
||
4. 표준작업관리 |
1. 작업관리 |
1. 공정분석과 작업분석 2. 동작분석 3. 표준시간과 작업측정 4. 생산성관리 및 평가 |
||
5. 설비보전관리 |
1. 설비보전 |
1. 설비보전의 종류 2. TPM(종합적설비관리) |
||
신뢰성관리 |
20 |
1. 신뢰성설계 및 분석 |
1. 신뢰성의 개념 |
1. 신뢰성의 기초개념 2. 신뢰성 수명분포 3. 신뢰도 함수 4. 신뢰성 척도 계산 |
2. 신뢰성 시험과 추정 |
1. 신뢰성 척도의 계산 2. 신뢰성 척도의 검정과 추정 |
|||
3. 보전성과 유용성 |
1. 보전성 2. 유용성 |
|||
4. 신뢰성 시험과 추정 |
1. 고장율 곡선 2. 신뢰성 데이터분석 3. 정상수명시험 4. 확률도(와이블, 정규, 지수 등)를 통한 신뢰성추정 5. 가속수명시험 6. 신뢰성 샘플링기법 7. 간섭이론과 안전계수 |
|||
5. 시스템의 신뢰도 |
1. 직렬결합 시스템의 신뢰도 2. 병렬결합 시스템의 신뢰도 3. 기타 결합 시스템의 신뢰도 |
|||
6. 신뢰성 설계 |
1. 신뢰성 설계 개념 2. 신뢰성 설계 방법 |
|||
7. 고장해석 방법 |
1. FMEA에 의한 고장해석 2. FTA에 의한 고장해석 |
|||
8. 신뢰성관리 |
1. 신뢰성관리 |
|||
품질경영 |
20 |
1. 품질경영의 이해와 활용 |
1. 품질경영 |
1. 품질경영의 개념 2. 품질전략과 TQM 3. 고객만족과 품질경영 4. 품질경영시스템(QMS) 5. 협력업체 품질관리 6. 제조물 책임과 품질보증 7. 교육훈련과 모티베이션 8. 서비스업의 품질경영 |
2. 품질비용 |
1. 품질비용과 COPQ 2. 품질비용 측정 및 분석 |
|||
3. 표준화 |
1. 표준화와 표준화 요소 2. 사내표준화 3. 산업표준화와 국제표준화 4. 품질인증제도(KS 등) |
|||
4. 6시그마 혁신활동과 공정능력 |
1. 규정공차와 공정능력분석 2. 6시그마 혁신활동 |
|||
5. 검사설비 운영 |
1. 검사설비관리 2. MSA(측정시스템) |
|||
6. 품질혁신 활동 |
1. 혁신활동 2. 개선활동 3. 품질관리수법 |
실기
○직무내용 : 고객만족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계, 생산준비, 제조 및 서비스를 산업 전반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고 품질경영시스템의 업무를 수행하여 각 단계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혁신하는 직무 수행
○수행준거 : 1. 통계적 기법을 기초로 품질경영 업무 및 신뢰성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2. 품질계획 및 설계,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품질보증시스템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관리도 및 샘플링 검사, 실험계획법 등을 활용하여 관리개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3. 제도적 개선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품질시스템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시스템 운영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실기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품질경영실무 |
1. 품질정보관리 |
1. 품질정보체계정립하기 |
1. 품질전략에 따라 설정된 품질목표의 평가와 품질보증 업무의 개선 필요사항 도출할 수 있는 품질정보의 분류 체계를 정립할 수 있다. 2. 정립된 품질정보의 분류 체계에 따라 품질정보 운영 절차 및 기준을 작성할 수 있다. |
2. 품질정보분석 및 평가하기 |
1. 품질정보 운영 절차 및 기준에 따라 항목별 품질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2. 품질정보 운영 절차 및 기준에 따라 항목별 품질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3. 수집된 품질데이터를 통계적 기법에 따라 분석할 수 있다. 4. 품질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목표 달성 여부와 프로세스 개선 필요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5. 품질정보의 평가 결과에 따라 품질회의의 의사결정을 통해 각 부문의 개선활동 계획 수립에 반영할 수 있다. |
||
3. 품질정보 활용하기 |
1. 각 부문 품질경영 활동 추진을 위한 장단기 계획에 따라 통계적 품질관리 활용 계획을 포함하여 수립 할 수 있다. 2. 각 부문 품질경영 활동에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3. 각 부문 통계적 품질관리 활동 추진 결과를 평가하여 사후관리를 할 수 있다. |
||
2. 품질코스트관리 |
1. 품질코스트 체계 정립하기 |
1. 품질코스트 관리 절차와 운영기준에 따라 분류 체계별 품질코스트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2. 설정된 품질코스트 항목별 산출기준과 수집방법을 정립하여 사내표준으로 제정할 수 있다. |
|
2. 품질코스트 수집하기 |
1. 품질코스트(Q COST) 및 COPQ 항목별 산출기준에 따라 각 부문에서 주기적으로 품질코스트를 산출하고 수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2. 수집된 품질코스트(Q COST) 및 COPQ를 산출기준에 따라 검증할 수 있다. |
||
3. 품질코스트 개선하기 |
1. 품질코스트(Q COST) 및 COPQ 분석 결과에 따라 품질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 2. 도출된 품질코스트(Q COST) 및 COPQ 개선 항목에 따라 개선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3. 품질코스트(Q COST) 및 COPQ 항목과 산출기준의 정합성을 모니터링 하여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
||
3. 설계품질관리 ̄ |
1. 품질특성 및 설계변수 설정하기 |
1. 최적설계를 구현하기 위한 품질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2. 설정된 품질변수를 통하여 실험설계를 할 수 있다. 3. 실험설계를 위한 실험 방법 및 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
|
2. 파라미터 설계하기 |
1. 파라미터 설계를 위한 실험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계획된 실험방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3. 계획된 실험방법에 따라 진행된 실험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4. 품질특성에 따라 설계변수의 최적조합조건을 도출하여 설계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
||
3. 허용차 설계 및 결정하기 |
1. 설계변수의 최적조합수준 하에서 관리허용범위 내에서 재현성 실험설계를 실시 할 수 있다. 2. 실험 데이터를 분산분석으로 요인별 기여도를 파악하여 허용차를 설정할 수 있다. 3. 최종 품질특성치에 따라 허용차를 결정하여 표준화를 실시할 수 있다. |
||
4. 공정품질관리 |
1. 중점관리항목 선정하기 |
1. 중점관리항목 선정 절차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 2. 수집 및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품질기법을 활용하여 중점관리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 3. 선정된 중점관리항목을 관리계획에 반영하여 문서(관리계획서 또는 QC공정도)를 작성할 수 있다. |
|
2. 관리도 작성하기 |
1. 중점관리항목의 특성에 따라 해당되는 관리도의 종류를 선정할 수 있다. 2. 관리계획서 또는 QC공정도의 관리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도를 작성할 수 있다. 3. 작성된 관리도를 활용하여 공정을 해석할 수 있다. 4. 관리도 해석으로부터 발생한 공정이상에 대해 조치할 수 있다. |
||
3. 공정능력평가하기 |
1. 데이터의 수집기간과 유형에 따라 공정능력 분석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2. 품질특성의 규격에 따라 공정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3. 공정능력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개선 방향을 수립할 수 있다. 4. 수립한 개선 방향에 따라 공정능력 향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
5. 품질검사관리 |
1. 검사체계 정립하기 |
1. 품질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검사업무 절차와 검사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2. 검사업무 절차와 검사기준에 따라 검사관리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3. 제품개발 계획과 생산계획에 따라 검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
2. 품질검사 실시하기 |
1. 검사업무 절차와 검사기준에 따라 로트별로 품질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2. 검사결과 발생한 불합격 로트에 대해 부적합품 처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3. 로트별 검사 결과에 따라 검사이력 관리대장을 작성할 수 있다. |
||
3. 측정기 관리하기 |
1. 측정기 유효기간을 고려하여 교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수립한 교정계획에 따라 교정을 실시할 수 있다. 3. 측정기 관리 업무 절차와 측정시스템 분석 계획에 따라 측정시스템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
||
6. 품질보증체계 확립 |
1. 품질보증체계 정립하기 |
1. 품질보증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의 요구사항 조사결과에 따라 미비, 수정, 보완 사항을 도출할 수 있다. 2. 도출된 미비, 수정, 보완 사항에 따라 품질보증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다. 3. 정립된 품질보증 업무 프로세스를 문서화하여 사내표준을 정비할 수 있다. |
|
2. 품질보증체계 운영하기 |
1. 연간 교육계획을 수립하여 품질보증 업무에 대한 사내표준의 이해와 실행에 대한 교육을 운영할 수 있다. 2. 품질보증 업무에 대한 사내표준에 따라 단계별 품질보증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3. 품질보증 업무에 대한 사내표준에 따라 단계별 품질보증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4. 품질보증 업무 운영결과에 따라 사후관리를 할 수 있다. |
||
7. 신뢰성 관리 |
1. 신뢰성 체계 정립하기 |
1. 신뢰성체계 요구사항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라 수정·보완 사항을 도출할 수 있다. 2. 도출된 수정·보완 사항에 따라 신뢰성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다. 3. 정립된 신뢰성 업무 프로세스를 문서화하여 사내표준을 정비할 수 있다. |
|
2. 신뢰성시험하기 |
1. 고객의 사용 환경 조건 및 요구사항에 따라 신뢰성시험 업무 절차와 시험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2. 신뢰성시험 업무 절차와 시험방법을 고려하여 신뢰성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3. 신뢰성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개선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4. 신뢰성 개선방향에 근거하여 개선 필요 사항을 도출하여 수정할 수 있다. |
||
3. 신뢰성평가하기 |
1. 신뢰성 데이터의 수집기간과 유형에 따라 신뢰성 파라미터 분석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2. 신뢰성파라미터 분석 방법에 따라 신뢰성 수준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다. 3. 신뢰성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개선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4. 신뢰성 개선방향에 따라 개선 필요 사항을 도출하여 수정할 수 있다. |
||
8. 현장품질관리 |
1. 3정5S 활동하기 |
1. 3정 5S 추진 절차에 따라 활동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활동 계획에 따라 역할을 분담하여 3정 5S 활동을 실행 할 수 있다. |
|
2. 눈으로 보는 관리하기 |
1.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관리대상을 선정하여 활동계획을 수립 할 수 있다. 2. 활동계획에 따라 관리 방법과 기준을 결정 할 수 있다. |
||
3. 자주보전 활동하기 |
1. 자주보전 추진계획에 따라 활동 단계별 세부 추진일정을 수립 할 수 있다. 2. 활동 단계별 진행방법에 따라 활동을 실행 할 수 있다. |
다른 분들 추천도서
배극윤
스프링분철 해주는 구매처 찾기, 주경야독이라는 유튜브 추천
추천 사이트 링크
https://namu.wiki/w/%ED%92%88%EC%A7%88%EA%B2%BD%EC%98%81%EA%B8%B0%EC%82%AC
품질경영기사
실제 제조 현장에서 품질 관련 업무인 원재료의 구입, 제품의 가공, 제품의 출하 등 공장 프로세스 전반에서 품질과
namu.wiki
https://m.blog.naver.com/rbfl1989/222625154629
[자격증] 비전공자 무료공부법, 품질경영기사 합격후기 (개요)
<<<광고아니고, 순수 합격수기입니다>>> 2022년 임인년(壬寅年). 품질경영기사 자격증 ...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rbfl1989/222625750210?recommendTrackingCode=2
[자격증] 비전공자 무료공부법, 품질경영기사 합격후기 (필기)
<<<광고아니고, 순수 합격수기입니다>>> 응시 회차, 공부기간, 합격 점수, 전공 여부 20...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rbfl1989/222625970558?recommendTrackingCode=2
[자격증] 비전공자 무료공부법, 품질경영기사 합격후기 (실기)
<<<광고아니고, 순수 합격수기입니다>>> 필기에 이어서 실기시험공부법! (실기 합격 점...
blog.naver.com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sc] 2023년 자격증 일정 (ADP, ADsP, SQLP, SQLD,사회조사분석사2급,리눅스 마스터 2급) (0) | 2023.08.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