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7 블루스크린 에러 0x000000c2 해결법 BAD_POOL_CALLER, 0x000000c2 라고 오늘 갑자기 윈도우7에서 블루스크린 뜨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네요.컴퓨터 킬때 안전모드 진입F8, F10, F11, F12 등 제조사마다 틀림컴퓨터 전원 키자마자 연타 F8부터 연타 해보시면 됩니다.안전모드로 진입하면 윈도우가 실행되는데,시작버튼 누루시고 ->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 -> nProtect Oline Security V1.0 삭제이렇게 하시고 재시작 하시면 해결되십니다. 구형 os/windows 7 2025.10.17
우분투 화면설정이 갑자기 640x480 으로 고정될때 해결 그래픽카드가 엔비디아라면엔비디아 대신 기본드라이버(nouveau) 로 부팅되면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상황입니다.nouveau 드라이버 블랙리스트 추가sudo nano /etc/modprobe.d/blacklist-nouveau.conf아래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blacklist nouveauoptions nouveau modeset=0권장 드라이버 확인 sudo update-initramfs -u권장 드라이버 설치ubuntu-drivers devices여기서 보통 nvidia-driver-575 같은 게 "recommended"로 표시됩니다.sudo ubuntu-drivers autoinstall->만약 특정 버전 직접 설치하고 싶으면: sudo apt install nvidia-driver-575 처럼.. OS & Hardware/Linux_ubuntu 2025.08.28
우분투에서 배터리 충전 80%제한 _ 노트북 그램 17zd90p 1. 아래와 같이 80% 충전제한 설정아래중 1개만 치면되는데,첫번째는 lg그램에 대한 것이고아래는 공통인 부분인데, CMB0 라는 부분은 다른곳에서는 BAT0등 다를 수 있으니 확인 해 보아야 한다.폴더내에 charge_control_end_threshold 파일이 있는 폴더 이름으로 수정해서 친다.만약 두 명령어를 쳤다 하더라도, 시스템이 둘중 하나만 작동하고 다른쪽은 무시된다.echo 80 | sudo tee /sys/devices/platform/lg-laptop/battery_care_limitecho 80 | sudo tee /sys/class/power_supply/CMB0/charge_control_end_threshold위 설정의 문제는 재부팅하면 초기화 된다는 점이다. 때문에 아래와 같.. OS & Hardware/Linux_ubuntu 2025.08.26
윈도우, 우분투 듀얼부팅에서 블루투스 키보드 연결 공유 및 문제해결 우분투와 윈도우 듀얼부팅 환경에서멀티 등록이 가능한 블루투스 키보드 등록시 우분투 윈도우 둘중 하나만 등록가능하고1번 블루투스 키에 윈도우, 2번에 우분투를 쓰더라도 하나 등록시 다른 하나가 해지되는 문제가 있다.때문에 아예 블루투스 공유를 해줄까 한다.즉, k380 의 경우 F1, F2, F3 이렇게 블루투스가 3개 등록 가능한데,윈도우와 우분투 둘다 동일한 F1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윈도우에서 블루투스 보안키를 우분투로 복사 할려고 한다.1(우분투). 우분투에서 블루투스를 먼저 연결해준다.등록 되어 있어야 윈도우에서 키를 복사해서 등록해줄 수 있다.2(윈도우). 윈도우로 부팅해서 1번에서 등록한 블루투스 기기를 다시 페어링해서 윈도우에 등록시킨다.(1번에서 F1, F2, F3 중 F1을 등록했다면 여.. OS & Hardware/Linux_ubuntu 2025.08.16
여전히 지원되는 xp 인터넷 부라우져-파이어폭스52.9, superium 현재 2025년 기준 지원되는 xp 인터넷 브라우져입니다.산업계에서 여전히 xp 컴퓨터를 쓰고있어서나름 고사양에서 쓰시는데에는 문제없겠지만구형 시스템에서는 쾌적한 인터넷 서핑에는 무리가있습니다.어래 알집으로 분할압축한 파일들이 있으며크롬 기반의 superium과 파이어폭스 52.9 이 있으니 둘다 써보시고 맞는걸 사용하시면되세요.참고로 superium의경우바탕화면에 바로가기가 나오지않는가면프로그램 폴더에서 exe파일을 바로가기로 만드셔야합니다 3 구형 os/windows xp 2025.08.11
윈도우 7 시작 버튼 애플 로고로 바꾸기 2025년 6월 28일 아직 윈도우7 노트북이 있고 여전히 쓰고있어서오늘 그냥 애플 로고를 만들어 적용시켜 보았습니다.원래는 아래와같은 파란색 로고로 진행했는데, 결과가 너무 안이뻐서 애플 옛날 로고로 다시 작업하였네요.위가 평소 로고아래가 마우스 가져다 대면 빛나는 로고인데...결과가... 마음에 안들더라구요 ^^: 그래서 아래와 같이 옛날 애플 로고로 변경하였습니다.이게 평소 상태마우스 가져다 대면 빛나는상태눌렀을때 상태입니다. 아래는 윈도우7의 시작 로고버튼 변경하는 프로그램입니다.windows 7 start butten changer 다운받으시고exe1확장자를 exe로 바꾸셔야 합니다.exe1 -> exe그리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뜹니다.첫번째 메뉴가 교체이고2번째 메뉴는 원래 오리지널로 되돌리.. 구형 os/windows 7 2025.06.28
우분투에서 Xorg, X11, Wayland란 우분투에서 Xorg, X11, Wayland란? 우분투(Ubuntu)와 같은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에서 그래픽 환경(GUI)은 우리가 마우스를 움직이고,창을 띄우며, 프로그램을 시각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그런데 이 그래픽 환경이 동작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가 디스플레이 서버(Display Server)입니다.1. 디스플레이 서버란?디스플레이 서버는 사용자와 운영체제 사이에서 그래픽 출력과 입력 이벤트(마우스, 키보드 등)를 중재하는 역할을 합니다.사용자 → 디스플레이 서버 → 프로그램프로그램 → 디스플레이 서버 → 사용자 화면2. X11 (X Window System)X11(X Window System, version 11)은 1984년에 개발된 디스플레이 서버 프로토콜로, 리눅스와 유닉.. OS & Hardware/Linux_ubuntu 2025.06.14
우분투 크롬 한글 스페이스바 띄어쓰기 오류 문제 sudo dpkg --install google-chrome-stable_134.0.6998.88-1_amd64.deb최근 우분투 22.04에서 미루던 크롬 업데이트를 하였는데, 한글 띄어쓰기 관련된 오류가 있었습니다.'테스트 테스트' 이렇게 중간에 스페이스바 치는부분에서'테스 트테스트'처럼 앞쪽에 띄어쓰기 되는 이슈인데,방향키-> 를 누루고 스페이스바를 치면 괜찮지만 매번 이러기는 번거로워서 지우고 구버젼을 다시 설치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원인은 2025년 4월에 크롬 135버젼에서 일어나는 문제이기 때문에그 이전 버젼 설치 후 다른 버젼 설치하시는 편이 좋을것 같습니다. 기존 크롬 지우기sudo apt remove google-chrome-stable더보기캐시및 파일 삭제이지만 하지 않는것을 권합니다... OS & Hardware/Linux_ubuntu 2025.05.20
[R] 맥북(맥)에서 edit()함수가 안될때 맥에서 R의 edit() 함수를 이용할때 아래와 같은 오류 메세지가 뜨는 경우가 있다.> aError in check_for_XQuartz(file.path(R.home("modules"), "R_de.so")) : X11 library is missing: install XQuartz from http://www.xquartz.org이 오류 메세지는 윈도우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맥에서는 gui로 위 함수를 실행하기위해서 x11라이브러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오류메세지가 나오는 것이다.이를 해결하려면x11이 포함되어 있는 XQuartz를 설치하면된다아래를 설치 하고 R을 완전히 껏다 키면 적용이 될것이다.XQuartz 공식 웹사이트 XQuartzThe XQuartz project is an op.. programming language/R 2025.03.20
설명서 공학계산기 fx-570es plus 1nd, 2nd, 설명서(fx-991es), fx-570ex(fx-991ex) fx-570es plus , fx-991es plus설명서 fx-570es plus 2nd, fx-991es plus 2nd 설명서 출처 : https://www.casio.com/kr/support/calculators/manual/ Misc 2025.03.20